1. 정의

노화에 따라 근육이 감소하여 다양한 건강 관련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근감소증(sarcopenia)이라 한다. 근육의 양적 감소와 근력 감소로 인해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다양한 자극에 취약해진 상태이다.

 

2. 원인

노화로 인한 일차성(원발성) 근감소증과 약물 또는 질환 등에 의한 이차성(속발성) 근감소증으로 분류한다.

 

3. 진단

근감소증 관련 국제 학회들에서 근감소증의 진단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근육량(muscle mass), 근력(muscle strength), 근육 수행능(function or performance) 등 3가지 요소를 평가하여 진단한다(표27-1).

1) 근육의 양적 평가

DXA와 BIA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를 가장 흔히 사용하며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을 통해서도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대적 근육량은 양팔과 양다리의 근육량을 합한 사지근육량(appendicular lean mass, ALM)을 키의 제곱(height2), 체중(weight) 또는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로 보정한 값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값은 젊은 연령층의 2 표준편차 이하 또는 연구대상자의 하위 20%을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근육량 지수(muscle mass index)

• ALM/height2

• Total muscle mass/weight, ALM/weight

• ALM/BMI

2) 근력 평가

주로 악력과 하지근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악력 측정은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표준검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AWGS (Asi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에서 남성은 26 kg, 여성은 18 kg을 악력 저하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하지근력 평가는 등속성 근력 측정장비를 통해 측정하며, 무릎관절 신전근과 굴곡극에 대해 최대 우력(peak torque)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peak torque/bodyweight).

3) 근육의 수행능 평가

보행속도(gait speed) 평가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특히 4 m 또는 6 m 보행속도를 많이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근육 수행능 저하의 기준을 0.8 m/s로 제시한다. 또한 균형검사(balance test), 보행속도, 의자 일어서기 검사(chair rise test) 등 3가지 항목을 각각 4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해 합한 점수인 SPPB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를 평가하여 8점 이하를 근육 수행능 저하의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4) 진단기준

근감소증은 근육량 감소, 근력 감소, 근육 수행능 감소가 일어나는 경우로 진단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평가방법과 기준은 근감소증 유관학회 마다 정의에 다소 차이가 있다(표 27-2).

4. 임상적 중요성: 근감소증과 골다공증

근육은 인간의 자세유지와 관절운동을 통한 움직임에 필수적이므로 근육의 양적, 질적 소실로 인한 근감소증은 움직임 저하, 낙상 위험 증가, 골절위험 증가, 장애 등 건강에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근육과 뼈는 노화에 따라 유사하게 변화하는 기관이며 해부학적으로도 밀접하게 붙어 있어서 최근 근육과 뼈, 근감소증과 골다공증은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역학연구에서 근감소증이 있는 노인에서 골다공증과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근감소증이 있으면 골다공증이나 골절의 위험이 1.5~3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근감소증과 골다공증이 깊은 관련을 갖는 기전으로 근육활동으로 인한 뼈에 대한 기계적 부하가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강도를 향상시킨다는 mechanostat theory와 근육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미오카인(myokine)의 뼈에 대한 긍정적인 작용 등이 제시되고 있다.

 

5. 결론

근감소증의 진단기준 등에 대한 일관된 진단법의 정립과 치료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최근 골다공증의 원인 또는 골다공증과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으로서 근골격계 노화의 한 현상인 근감소증의 임상적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뼈와 함께 근육도 노화의 영향을 받는 주기관으로 많은 의학적 관심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