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 대한심장학회 김기식 이사장, 대힌심혈관중재학회 한규록 이사장
좌측 대한심장학회 김기식 이사장, 대힌심혈관중재학회 한규록 이사장

급성 심근경색증의 지역간 사망률 불균형이 심각한 가운데, 필수의료원 심뇌혈관질환의 국가책임제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높다.

12일 김세연, 장정숙 국회의원 주최 대한심장학회, 대한심혈관중재학회 주관으로 ‘급성 심근경색증의 지역간 사망률 불균형을 어떻게 줄일까?’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에서 충북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충북대병원 심장내과 배장환 교수는 ‘한국 심근경색증 사망률 지역간 불균형’에 대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심뇌혈관질환의 지역불균형 심화가 매우 심각한 상태다. 특히 심근경색증 발생률과 사망률의 차이가 매우 커서, 사망률의 경우는 2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이는 치료가능 사망률의 지자체간 차이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인력 문제도 심각하다 심장내과의 경우 전형적인 3D 직종으로 인식되어 전임의 감소로 1명 만이 근무하는 경우가 전체 심혈관센터의 60%에 육박하고 있는 것.

심뇌혈관센터의 체계화도 부족도 문제다. 서울권에는 권역심뇌혈관센터가 없는 상태이며, 지역 심뇌혈관센터 설립도 전혀 없어 응급센터나 암센터와는 다르게 권역-지역센터의 공조가 부재한 상태라는 것. 이 같이 심뇌혈관센터의 인적, 물적, 의료기자재의 필수 요건이 없는 상황이다.

응급심뇌질환자의 구급대 이송 체계화 역시 부족하다. 심근경색증 환자의 구급대 이송중 진료지도는 15% 미만에 머물러, 이송중 중증도 평가와 적절한 치료병원으로 이송이 불가능하다. 이에 배 교수는 정책 제안으로 심뇌혈관 질환의 국가, 지자체 책임제를 제시했다.

충북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충북대병원 심장내과 배장환 교수
충북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충북대병원 심장내과 배장환 교수

이와 함께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대한 예산 편성도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응급의료센터처럼 중앙-권역-지역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심뇌혈관질환 예방 역시 담배세 등의 재원을 이용한 예산 편성 법안 시행이 시급하다는 것.

또한 심뇌혈관질환 센터의 체계화(중앙심뇌혈관센터의 설립과 권역-지역 센터의 조직화) 및 119 센터의 내실화, 심근경색증 고사망률 지역에 대한 특별지원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 경남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경상대의대 예방의학과 김녹범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증 발생률 지역간 차이 및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심근경색증은 25분에 1명, 하루에 59명, 연 평균 21,465명이 발생하고 있다. 지역별 차이로는 대구가 10만 명당 50.3명으로 가장 높고, 세종이 30.2명으로 가장 낮아 지역별로 약 1.7배 차이가 나고 있다. 최근 10년간 심근경색증 발생 및 허혈성 심질환 사망률은 영남지역 시도는 발생률 및 사망률이 높았고, 서울, 전북, 충남, 대전, 경기는 사망률이 낮았다.

이에 김 교수는 관리방안으로 심근경색증 질병 통계의 부제를 지적했다. “권역심뇌혈관 등록시스템으로는 발생 규모 산출을 하지 못한다”며 “중앙 심뇌혈관질환 등록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도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사업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실제 등록군에서 전체 사망 1.9%, 심장질환 입원율 0.3%, 뇌혈관 질환 입원율 0.4%가 감소했다는 것. 또한 고지혈증 진료비 및 약제비 지원확대(월 최대 본인부담금 3,500원 지원)와 증상 발생 후 빠른 119구급 요청 등 지속적인 대국민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서울대의대 의료관리학교실 김 윤 교수는 ‘심근경색환자의 사망률 감소를 위한 권역의료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우선 병원 전단계의 문제로 낮은 증상 인지율, 낮은 119구급차 이용률(2016년 32.8%), 높은 전원율(58%, 지난 10년간 17% 증가), 권역 및 지역 심혈관센터 미지정 등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한 병원 단계에서의 문제는 치료가능병원의 지리적 불균등 분포, 권역 단위 심혈관 응급의료체계 부재를 꼽았다.

김 교수는 “심혈관응급체계 구축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적정치료를 받으면 사망률이 최대 14.1% 감소가 가능하다”며 골든타임 내 치료가능한 병원에 도착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라고 꼽았다.

이를 위해선 ▲증상 인지율 개선을 위한 중앙과 지방의 교육과 홍보 ▲119구급대와 심뇌응급센터의 시도 단위 협력체계 ▲심뇌혈관질환 치료가능병원의 적정한 자원 배치(권역 6개, 취약지 15개 포함 지역 54개) ▲학회 인증제도와 국가 지정 연계를 통한 심뇌응급센터의 인증제도 ▲중앙 및 시도 거버넌스(중앙-권역-지역 심뇌혈관센터)를 제시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