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의료기기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이 제시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는 6일 서울 드래곤시티(용산구 소재)에서 개최한 ‘창립 20주년 기념식’ 및 제16회 KMDIA 정기포럼’을 개최했다.

2부에 열린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패널토의’에서는 의료기기의 전주기 내용을 포괄하는 각 정부 및 유관기관, 언론, 업계가 참여하여 의료기기산업 육성을 위한 열린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지원 PD는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 추진에 대해 밝혔다.

이에 따르면 정부에서는 의료기기 R&D 사업을 하나의 사업으로 일원화하여 중복 투자를 방지하고, 목표 달성의 협력체계를 조성하기 위해 총 사업비 11,971억 원 규모의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사업단을 구성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사업단에서는 단계별로 분절된 기존의 부처별 R&D 지원을 기존 시장, 신규시장, 공공시장에 맞는 품목으로 재편해 전주기 지원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X선, 레이저, 치과, 체외진단 등 국내 주력 분야의 글로벌 도약 및 영상.심혈관.정형외과 등 수입의존도가 큰 의료기기의 국산화 지원 ▲초연결 지능화 의료기기, 정밀치료 로봇, 생체재료.바이오 소재 의료기기 등 미래 의료환경에 대비한 원천기술 확보 등이 포함된다.

서울대학교 오승준 교수는 토론에서 “대부분의 대학병원에서 90%가 넘게 외산 제품을 쓰고 있는 현실에서 국산의료기기 사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대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며, “자율 시장 경쟁 체제에 맡겨두기보다는 장려하고 지원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의료진과의 협력강화도 필요한 부분으로 꼽았다. “의료기기 개발은 회사에서 주도하는 경우 주로 외국에서 생산하여 유통되고 있는 기존제품의 카피 제품을 생산하는 구조가 되며, 병원이 주도가 도는 경우 아이디어는 있으되, 상품화/현실화로 연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며 “이러한 의료인, 공학자, 제조사 단절된 부분을 유기적으로 잘 연결하는 것이 의료기기 산업발전과 의료기기 연구 활성화를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동아일보 이진한 기자는 의료기기 관련 수가 및 신의료기술 평가에 대해 언급했다.

“최근 규제 개혁 일환으로 의료기술평가와 보험급여 등재심사가 동시에 진행하기로 해 의료기기 허가 뒤 급여등재까지 걸리는 시간이 기준 490일에서 100일이 단축된 390일이지만 여전히 시간이 길다”면서 “따라서 최근 신의료기술 평가 기간 중에서도 이러한 선급여를 통해 회사가 많은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해 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가령, 미국 FDA는 의료기기가 시장에 빨리 진입할 수 있도록 사전인증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고 일본도 마찬가지라는 것. 특히 앞으로 AI가 접목된 의료기술을 안착시키기 위해 시판 후 성능 재평가 방법이 마련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앞으로 확산될 인공지능 분야에서 현재는 병원이 환자에게 서비스 차원에서 이용되고 있지만 이를 의료산업화로 발전하려면 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통해 수가가 논의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식회사 루닛 박찬익 이사는 “향후 의료 시스템 및 의료기기산업의 발전과 활성화는 의료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활용하며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귀결될 수 있다”고 전제했다.

의료데이터 구축에 있어서는 표준에 기반한 정형 데이터로의 변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데이터의 활용에서는 의료데이터의 정의가 모호한 면이 있으므로 사회적 논의를 통해 명확한 방향성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운용 방안으로는 최소한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임상적 가능성을 확보한 경우, 초기 2~3년간의 인센티브를 통한 근거 창출의 기회를 주는 것이 장기적으로 의료시스템과 산업이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마중물을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