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들의 연내 급여 확대가 어려워질 전망이다.

급여 확대를 위해서는 암질환심의위원회를 통과한 후 약가 협상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현재 면역항암제들의 신규 적응증에 대해서는 암질환심의위원회에 상정될 안건조차 만들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심평원에서 담당자들이 각 암종들에 대해 학회에 의견조회를 요청하는 등 개별적으로 재정 영향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는 단계"라며 "이에 대한 데이터가 모아진 이후 암질환심의위원회에 안건으로 상정되겠지만, 당장 올해 안에 어떤 결정이 나오게 될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암질환심의위원회는 급여 확대 절차의 첫 단추지만, 안건 상정을 위한 정보 수집조차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6개월만에 모든 급여 확대 절차를 끝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그는 "면역항암제들의 급여 확대는 재정 영향이 큰 만큼 신중하게 검토할 수 밖에 없다"며 "보험 재정이 한정적이다 보니 면역항암제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나 재정 컨트롤 가능성 등을 먼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일부 암종에 대해 강력하게 급여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는 "현재 면역항암제들은 하나가 아닌, 적응증을 획득한 모든 암종에 대해 급여를 신청해 놓은 상황"이라며 "각 제약사들은 가장 급한 암종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이야기하고 있지만, 정부의 입장에서는 모든 환자들이 면역항암제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줘야 하는 만큼 손쉽게 결정을 내리기는 어려운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면역항암제들은 그간 흑색종과 폐암을 시작으로, 다양한 암종에 대해 빠르게 적응증을 확대해 왔다. 제품별로도 키트루다의 경우 지난해부터 비소세포폐암 1차, 두경부암, 호지킨림프종, 요로세포암 등에 대해, 옵디보는 신세포암, 방광암, 두경부암, 호지킨림프종, 위암 등에 대한 적응증 획득과 함께 보험 급여 신청을 해놓은 상태다. 후발주자인 티쎈트릭 역시 요로상피암 1차 적응증 획득 후 급여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이 관계자는 현재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비소세포폐암 1차 급여 적용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비소세포폐암 1차가 사실 2차 급여 검토 시점에 추가되면서 다른 암종에 비해 빠르게 적응증을 획득했고, 제약사들도 가장 자신있어 하는 부분이다 보니 포커싱이 되고 있는 것 같다"며 "획득한지 가장 오래된 적응증이기 때문에 일부러 늦추고 있다고 보여질 수 있지만, 사실은 다른 암종과 마찬가지로 검토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폐암 환자들은 그나마 2차에서 급여가 적용되지만 다른 암종의 환자들은 그마저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다"며 "환자의 포션이 가장 큰 암종에 대해 급여가 적용되면, 다른 암종의 환자들은 상대적으로 급여 적용에 제약을 받을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쉽게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급여를 요구하는 제약사는 기업이다 보니 가장 수익이 높은 환자군에 집중하기 마련"이라며 "일례로 폐암 2차 급여 때에는 강력하게 요구하며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지만, 흑색종의 경우에는 급여에 대한 의지가 약해 협상 자체에 난항을 겪었었다"고 토로했다.

즉, 제약사가 급여에 대한 의지가 없는 경우에는 급여 협상시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기 어렵다는 것.

그는 "향후에도 흑색종과 같은 케이스가 나오지 말라는 법은 없다"며 "이런 일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환자들의 형평성에 어긋날 소지가 있는 만큼, 차라리 급여 신청을 한 모든 암종을 염두에 두고 결정을 내리고자 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환자들이 고가의 약제 사용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점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이를 위해 최대한 서두르고 있다"며 "다만 다수의 환자들에게 혜택이 골고루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 정부의 입장도 조금은 이해해 주기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e-의료정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